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디버깅 - 자가진단 1~2 자가진단 1 이번에는 디버깅 문제다! 디버깅이란 버그를 찾고 해결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기본적으론 프로그램을 돌릴 때 한 문장 한 문장씩 실행하는 등 어디에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차근차근히 코드를 따가라면서 찾아내는 행동을 뜻한다. 변수의 자료형을 바꿔주고 싶을 땐 변수 옆에 괄호를 친 후 원하는 자료형을 넣어주면 된다. 문제에서의 조건은 1. 두 실수의 곱을 정수형으로 2. 두 실수를 각각 정수형으로 만든 뒤 이들의 곱을 이므로 10) printf("%d", (int)(a*b)); //(int)(a*b) 즉 두 실수의 곱을 구한 다음 자료형 변환을 했다. 11) printf("%d", (int)a*(int)b); //(in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연산자 - 형성평가 1~5 형성평가 1 조건 : 변수 4개를 받아서 합계와 평균을 구하기 (단 소수점 이하는 버림) 변수를 4개 초기화 한 뒤 입력을 받고, 합계와 평균을 구했다! (소수점 버림은 %d을 사용했다) 여러번 돌렸을 때의 모습이다. 형성평가 2 조건 : 두 수를 입력받고, 나눈 값과 나머지를 구한다 즉 /, %을 사용한다. 9) a, b, a/b, a%b //나누기와 나머지를 /, %을 통해서 구했다. // ex) 10 35 의 나머지 10%35 = 0×35 + 10 : 나머지는 10으로 나온다 잘 나왔다. 형성평가 3 조건 : 직사각형 넓이 구하기 직사각형 넓이 = 가로 × 세로 변수 a, b을 만들고, 가로는 a 세로는 b에 대입한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연산자 - 자가진단 7~8 자가진단 7 &&연산자 || 연산자 && 연산자 (논리곱) 이 연산자는 and의 의미를 가진다. 조건 a and 조건 b일 시 조건 a와 조건 b 둘 다 참으로 성립해야 참이다. 둘 중하나라도 거짓이면 조건 a and 조건 b는 거짓이다. || 연산자 (논리합) 이 연산자는 or의 의미를 가진다. 조건 a or 조건 b 일 시 조건 a 나 조건 b 중 둘 중 아무나 참이면 조건 a or 조건 b는 참이다. 둘 다 거짓일때가 조건 a or 조건 b의 거짓이다. 문제에선 정수를 입력받되 0인 경우 false 0이 아니면 true로 하라 했기에 10) printf("%d", a!=0 && b!=0); //논리곱 11) prin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연산자 - 자가진단 5~6 자가진단 5 이번엔 연산자 중에서도 비교연산자를 사용합니다! 비교연산자 == != 비교연산자 == ==는 두 개의 값이 같으면 참(1, true) 두개의 값이 다르면 거짓(0, false)을 비교해주는 연산자이다. 비교연산자 != 반대로 !=는 두 개의 값이 다를 때가 참(1, true) 서로의 값이 같을 때가 거짓(0, false)으로 비교해주는 연산자이다. a와 b 가 참인지를 알려면 == 를 사용하면 10) a==b //서로 같으면 1 다르면 0 a 와 b 가 다른 것이 사실인지 알려면 =! 를 사용하면 11) a=!b //서로 다르면 1 같으면 0 된다. if로 치환하면 이렇게 더 복잡하게 (굳이?) 만들 수 있다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연산자 - 자가진단 1~4 자가진단 1 드디어 연산자이다 다다다다다 연산자는 + * / - % == ? 등 여러 가지가 있다. 이번 자가진단 1에서 쓸 연산자는 더하기(+)와 나누기(/)이다. 변수 3개를 입력받고 이것들의 합과 평균을 구하는 문제다. (전에 입력에서 풀었던 것과 매우 비슷하다) 이번에도 소수점은 버림 하여 출력하라고 문제에서 말하고 있기에 (a+b+c)/3의 결과는 %d로 받으면서, 소수점 이하를 버림했다! 소수점 없이 잘 나왔다. 자가진단 2 이번엔 정수형 변수를 두 개 만든 다음 출력하면 된다! 문제에서 b에 10을 나눴을 때의 나머지를 요구하므로 나머지를 구할 수 있는 연산자인 %을 사용했다. 12) printf(%d, b%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입력 - 형성평가 1~5 형성평가 1 드디어 형성평가다. 이번엔 printf와 정수형 변수만 이용한다. 세 개의 변수를 만든 뒤, 출력했다. 쉬웠다! 형성평가 2 이번에는 실수형 변수를 만들어서 출력만 하면 된다. 10칸 오른쪽으로 민 다음(공백 10개 생성) 출력해야 하고 소수점은 2자리까지만 출력해야 하므로 %10.2f로 출력했다. 잘 정렬됐다! 형성평가 3 이번에는, 정수와 실수의 곱을 출력하면 된다. 소수점 2자리까지만 출력해야 하므로, %.2f를 사용했다. 또한 실수형과 정수형의 곱과 나눗셈은 실수형으로 계산되기 때문에 a*b에 대한 서식지정자는 %0.f로 하여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며 실수형 값을 받도록 했다. 잘 실행됐다. 형성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입력 - 자가진단 7~9 자가진단 7 이번에는 입력을 두 번 받는다. 입력을 프로그램 상에서 2번을 하려면 입력(스페이스바) 입력 이렇게 공백을 넣으면 다음 입력으로 넘어간다. 또한 정수끼리의 나눗셈에선 소수점 반올림이 가능하더라도 반올림 하지 않은 채로 나온다 ex) 43 ÷ 2= 21 (실제론 : 21.5) 매우 잘 작동된다! 자가진단 8 이번에는 실수형과 문자를 입력받아야 한다!!!! 실수형 double은 보통 서식지정자 %lf를 (float형은 %f 입니다) 문자형 char은 보통 서식지정자 %c를 이용해 받는다. 코드는 이와 같다. 코드를 보면 문자를 받을 때만 %c앞에 공백이 1칸 있어야 오류가 안 뜬다! 공백이 없으면 오류가 생긴다. 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입력 - 자가진단 5~6 자가진단 5 실수형 서식지정자는 어디 소수점까지 나타낼 수 있는 방법이 있다 그건 바로 %와 실수형 서식지정자의 알파벳 사이에 .x (x는 원하는 소수점)을 넣는 것이다. ex) printf("%f", 1.2395); -> printf("%.2f", 1.2395); 출력) 1.2395 -> 1.24 여기서 %.2f에서 .2는 소수점 둘째짜리까지만 출력한다는 의미이다. (반올림이 필요하면 자동으로 반올림한다) 문제에선 정렬되어서 출력되길 원하기 때문에 코드의 서식지정자를 보면 %4.1f, %5.1f 등 %와 f에 정수(4, 5)가 들어있다. 이는 각각 4, 5개의 여백을 만든 뒤 마지막 여백을 기준으로 나머지 여백을 채워나가..

jungol > 문제 > Langauge_Corder > 입력 - 자가진단 1~4 자가진단 1 이번에는 입력이다! 정수형 변수는 int로 만들 수 있다. int a; 이는 a라는 이름을 가진 정수형 변수를 선언한 거다. 나는 이를 int a = 0;으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를 했다. 그다음 a = -100;으로 a에 -100을 대입했다. (=는 c언어에선 대입의 기능을 가진다) 그런 후 a를 출력했다. 결과다. 자가진단 2 이번에는 변수를 2개 선언한 뒤 -1, 100을 각각 대입하여 출력해야 한다. 그래서 변수 a, b를 각각 -1, 100으로 초기화했다. 그런 다음 %d을 이용하여 출력했다. 매우 잘 나왔다. 자가진단 3 이번에도 변수는 두 개다! 변수의 선언 (변수를 생성) 자료형 변수이름; 변수의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그래프
- 브루트포스
- 스택
- 기하학
- 오프라인 쿼리
- union
- 누적 합
- DP
- 덱
- BFS
- PASCAL
- 그리디
- 정렬
- C++
- 누적합
- 1835
- XOR
- java
- 최대공약수
- 플로이드
- Segment Tree
- C언어
- 최소 스패닝 트리
- 1835번
- 백준
- Lazy Propagation
- DFS
- 세그먼트 트리
- Krustal
- find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